中의 엄포 "우리 이익 해치며 美와 협력하면 보복하겠다"
입력
수정
한국·일본 등 미국과 관세협상중 국가 겨냥여부 불확실
중국,2016년에도 사드 관련 한국에 경제 보복 전례
CNBC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이 날 “어떤 당사국도 중국의 이익을 희생하면서 합의에 도달하는 것에 단호하게 반대한다. 만약 이런 일이 발생한다면 중국은 단호하게 상응하는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부처는 국제 무역이 ‘정글의 법칙’에 따라 돌아갈 경우 모든 국가에 위험이 따른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달초 발표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는 한편, 중국에 대한 관세는 145%로 올리고 시행했다. 중국도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산 제품에 125%의 관세를 부과했다. 또 첨단 전자제품과 방위산업용으로 쓰이는 희토류 등 핵심 광물의 대미 수출을 제한하고 미국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올려 중국 기업과의 협력을 제한했다.
분석가들은 미국과 중국이 가까운 시일 내에 합의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17일에 앞으로 3~4주내로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2016년에도 미국과 한국이 사드 시스템을 배치하기로 합의한데 대한 보복으로 한국행 패키지 여행 상품 판매 중단과 한국 기업 운영 방해에 나서는 등 보복 조치를 취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방문했다. 미국으로부터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이들 나라 방문을 통해 시진핑관세와 일방적인 괴롭힘에 반대한다는 내용의 공식 발표문을 채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 중 중국에 관세를 부과한 이후, 중국은 동남아시아와의 무역을 확대해 왔다. 동남아시아는 현재 중국의 지역내 최대 무역 상대국이다. 미국은 단일 국가 기준으로 여전히 중국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toplightsa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