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조원 규모 '한국형 차기 구축함' 사업자 선정 또 지연
입력
수정
"사업추진방안 점검 후 분과위 재상정"
정부 관계자는 "KDDX사업의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 국방부 차원의 사업추진방안 점검과 국회 대상 설명과정을 거친 후 분과위 재상정 하기로 했다"고 했다. 앞서 지난달 17일 열린 방사청 분과위에서 상세 설계와 선도함 건조 방식을 정하지 못했고, 24일 다시 열린 분과위에서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
KDDX의 상세설계와 선도함 건조를 놓고 국내 특수선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그동안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다. 이전까지가 사전 준비 단계라면 상세설계는 각 무기 체계 등을 어디에 배치할지 등 세부적으로 함정을 구현하는 최종 설계 작업이다.
함정 사업 과정은 ‘개념설계→기본설계→상세설계 및 초도함 건조→후속함 건조’ 순으로 이뤄진다. KDDX 사업 개념설계는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이 맡았다. 이어 HD현대중공업이 기본설계를 담당해 KDDX의 핵심 기술 적용 및 탑재 장비 등을 결정했다.
HD현대중공업은 그동안 관례대로 수의계약을 하되 한화오션이 협력사로 상세설계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화오션은 자사 군사기밀을 HD현대중공업 직원들이 몰래 빼내 유출한 불법을 저지른 만큼 경쟁입찰로 해야 한다는 쪽이다.
방사청에 따르면 분과위 위원 과반수는 수의계약에 동의하고 있다. 다만 외부위원 6명은 한화오션이 요구한 경쟁입찰 혹은 공동설계 방식을 고수 중이다. 방사청은 이미 상세설계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만 1년6개월의 기간이 소요된 만큼 조속한 전력화를 이뤄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결국 이날도 결론을 내지 못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