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좌 털릴까봐 겁난다" 공포…주가 30%까지 폭등한 '이 회사'
입력
수정
'내 정보, 더 털리면 안돼' 해킹 공포
보안·유심주 급등
28일 코스닥에서 한싹은 가격제한폭(30%)까지 오른 689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 기업은 비밀번호 관리 솔루션 등이 주요 서비스다. 모니터랩(27.31%), SGA(22.92%), 인스피언(20.65%), 샌즈랩(14.37%) 등 기업간거래(B2B) 보안 서비스업체들도 주가가 일제 상승했다. 전자서명 등 인증서비스 사업자 아톤은 13.56%, 동종업체 한국정보인증은 12.61% 뛰었다.
보안업계 등에선 이번 사태로 한동안 기업과 개인의 보안·인증 서비스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실적으로 모든 해킹 피해자들이 유심을 즉각 교체할 수 없는 만큼 대안으로 자체 보안 강화에 나설 것이란 예상이다.
SK텔레콤 가입자는 약 2300만명에 달한다. 이 회사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187만명까지 포함하면 유심 교체 대상자는 총 2487만명으로 추정된다. 반면 SK텔레콤이 보유한 유심 재고는 100만개 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가 운영하는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엠세이퍼’ 공식 웹사이트는 가입을 원하는 이들이 몰리면서 한때 접속이 지연되기도 했다.
기업들도 임직원들에게 유심을 즉각 교체하고 보안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스마트폰으로 회사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혹시 모를 정보 유출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이날까지 삼성·현대차·포스코·한화·HD현대 등이 임직원들에게 관련 공지를 내렸다. 네이버·카카오·NHN·엔씨소프트·넷마블 등 IT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한편 이날 유심 생산 관련 기업들 주가도 크게 뛰었다. ‘비상 수요’ 수혜를 볼 것이란 예상에서다. SK텔레콤은 다음달 말까지 유심 500만개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이날 유비벨록스(29.99%), 한솔인티큐브(29.83%), 엑스큐어(29.79%)는 나란히 가격제한폭까지 올랐다. 코나아이(6.08%)도 주가가 상승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toplightsa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