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바카라

'국민 재테크' ETF…이젠 200조 시대

국내 ETF 순자산 198.3조

100조 돌파 2년 만에 두 배로
세계 11위 … 해외투자 상품 급증
수수료 저렴하고 거래도 편해
국내 상장지수펀드(ETF)가 2002년 출시 후 23년 만에 200조원 시대를 눈앞에 뒀다. 해외 투자 붐에 힘입어 ‘국민 재테크’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기준 국내에 상장된 983개 ETF의 순자산 합계는 198조3202억원이었다. 2023년 7월 100조원을 돌파했는데, 2년도 안 돼 200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로 커졌다.

퇴직연금 시장이 급성장하며 내년 상반기 30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45%에 달하는 데다 최근 들어 순자산 증가세에 속도가 붙어서다. 한국 ETF 시장은 순자산 기준으로 세계 11위, 상품 수로 4위, 거래량으로 5위 규모다.

ETF 인기의 배경은 거래 편리성과 수수료 경쟁력으로 요약된다. 한 주 단위로 쉽게 사고팔 수 있는 주식의 장점을 갖춘 데다 여러 종목이나 자산을 모은 펀드에 투자하는 방식이어서 변동성이 낮다. ETF 수수료(운용 보수)는 0.5% 내외로, 일반 펀드(1~3%)의 절반 이하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미·중 갈등 완화 등이 맞물리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높아진 점도 ETF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의 주요 지수뿐만 아니라 엔비디아 테슬라 등 특정 종목을 기초자산으로 삼는 ETF가 속속 상장돼 선택의 폭도 넓어졌다. 영주 닐슨 성균관대 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다양한 ETF가 출시돼 일반투자자가 해외 상품에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다”며 “퇴직연금 내 수수료가 저렴한 ETF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단기 투자를 유도하는 레버리지·인버스형 ETF나 과도한 테마형 ETF의 난립 등은 위험 요인이라는 지적이 많다.

최만수/맹진규 기자 bebop@toplightsale.com

바카라사이트 실시간 바카라사이트
  • 친절한 링크:

  • 바카라사이트

    카지노사이트

    바카라사이트

    바카라사이트

    바카라사이트

    바카라사이트 서울

    실시간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