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한 지 불과 3년도 되지 않은 코스닥기업이 상장폐지 위기에 몰려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해부터 상장한 지 3~4년 만에 퇴출된 기업들이 잇따르고 있어 투자자 주의가 요구된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디지털 영상저장장치(DVR)업체인 는 지난해 재무제표에 대해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다. 이에 따라 거래소는 오는 4월12일까지 의견거절이 번복되지 않는다면 퇴출될 예정이라며 거래를 정지시켰다.

감사인은 "대표이사가 회사 소유의 수표 등을 반출 후 사용하거나 재반입하는 등 자금 관련 내부통제가 극히 취약하고 재무제표 영향에 미치는 자료를 확보하지 못했다"며 감사의견을 내놓지 않았다.

아구스는 2007년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회사로 상장한 지 2년 반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지난해 적자전환했지만 자본잠식이 없었고 매출도 300억원대를 기록한 회사다. 특히 거래 정지 전까지 주가가 블랙박스 사업 기대로 6거래일 동안 50% 가까이 급등하는 등 퇴출 징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 회사의 시가총액은 334억원 규모여서 퇴출이 확정될 경우 투자자 피해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부터 상장된 지 몇년 되지 않아 퇴출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투자자들이 더욱 조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상장폐지가 확정돼 23일 정리매매가 시작될 예정인 아이알디도 2006년 6월 증시에 입성한 회사로 상장한 지 3년 반밖에 되지 않았다. 지난해 퇴출된 사이버패스와 모빌탑도 각각 2006년 상장된 회사들이다.

전문가들은 지난해 도입된 상장폐지 실질심사 제도의 영향으로 외부감사가 매우 엄격해져 퇴출 리스크가 더 높아진 점에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애널리스트는 "회계법인들의 감사가 강화되면서 아구스의 사례와 같이 퇴출 징후를 찾아볼 수 없다가 의견거절로 갑자기 상장폐지되는 사례가 앞으로는 빈번해질 수 있다"며 "앞으로 일주일 동안 한계기업들의 감사보고서가 잇따를 예정이라 단타 매매를 삼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상장 후 몇년 되지 않아 대주주가 바뀌는 경우 회사 부실이 빠른 속도로 나타날 수 있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조진형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