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주가가 3%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리콜 소식에 렌트카 업체 허츠와의 계약 관련 불확실성이 불거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테슬라는 미국 동부시간으로 2일 정오 기준 3%대 하락률을 보이고 있다. 주가는 1200달러 밑으로 내려갔다. 테슬라에 부정적인 소식이 연이어 나오며 투자 심리가 악화됐다.
우선 리콜 소식이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2017년 이후 판매된 테슬라 차량 1만1704대를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통신 오류로 인해 잘못된 전방 충돌 경고가 발생하거나 비상 브레이크가 작동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리콜은 테슬라가 지난달 23일 배포한 FSD(완전자율주행) 10.3 버전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한 일부 오류에서 촉발됐다. 업데이트 다음날인 24일부터 고객들로부터 전방충돌 경고나 자동 긴급 제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사례 신고가 들어왔다. FSD에는 △차선 변경 보조 △정지신호 앞 감속 △자동 자회전 및 우회전 등 기능이 포함됐다.
현재 테슬라는 북미 운전자를 중심으로 ‘안전 점수’(0~100점)가 상위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FSD 베타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테슬라는 해당 소프트웨어 버전을 삭제한 후 새로운 업데이트된 버전을 배포했지만 NHTSA는 테슬라에 리콜을 압박했다.
테슬라와 허츠와의 계약과 관련해서도 진실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1일 밤 트위터에 "주가 상승이 허츠와의 소식을 염두에 두고 이뤄진 것이라면 아직 어떤 계약도 체결되지 않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고 적었다. 이에 대해 허츠는 2일 "지난달에 발표한 바와 같이 허츠는 테슬라 전기차 10만 대를 주문했다"며 "이미 납품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글로벌 투자자금이 신흥국 증시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신용등급 하락과 재정적자 우려에 ‘셀 아메리카’(미국 자산 매도) 바람이 불면서다. 22일 ETF닷컴에 따르면 신흥국 증시에 투자하는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인 ‘아반티스 이머징 마켓 에쿼티’(AVEM)에 최근 1개월 동안 11억560만달러(약 1조5266억원)가 순유입됐다. 미국 외 국가·권역에 투자하는 ETF 가운데 이 기간 순유입액이 가장 많았다. 올초부터 미국 증시 대안으로 주목받은 ‘뱅가드 FTSE 유럽’(VGK·9억8740만달러) ETF를 뛰어넘었다.신흥국 ETF에 자금이 몰린 것은 미국 외 투자처를 찾는 글로벌 투자자가 저평가된 신흥국 증시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는 상황에서 신흥국 주식보다 나은 선택지는 없다”고 단언했다.흔들리는 美, 글로벌 자금 대이동…AVEM ETF 한달 1.5조弗 순유입美 신용불안에 환차익 기대도…BoA "신흥국이 다음 강세장"글로벌 자금이 신흥국 증시에 몰려드는 것은 미국 정부의 신용등급 하락 여파로 미국 국채와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달러 약세와 함께 대외 환경이 우호적으로 바뀌면서 신흥국 증시가 강세장을 맞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신흥국 증시 수익률, 미국 추월22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24개 신흥국의 중대형 종목을 담은 MSCI 신흥국지수는 연초 대비 전날까지 8% 상승했다. 같은 기간의 미국 S&P500지수(-0.4%) 수익률을 크게 추월했다. 최근 수년간 미국 증시가 뛰고 신흥국 증시는 상대적으로 지지부진했던 것과 대비되는 수치다.신
비트코인(BTC)이 4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21일(현지시간) 글로벌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은 전일 대비 약 6% 급등한 11만1880달러에 거래되며 종전 최고가였던 10만9588달러를 돌파했다.업계는 이번 신고점 배경으로 미국 상원의 스테이블코인 법안 '지니어스 액트(GENIUS Act)'의 입법 진전을 지목하고 있다. 법안의 통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 기대감이 시장에 반영됐다는 것. 이날 블룸버그는 "민주당 일부 의원들이 반대 입장을 철회하며 표결 통과 가능성이 커졌다"며 "규제 명확성 확보 기대감이 비트코인 상승세로 이어졌다"고 전했다. 22일 현재 법안은 종결 동의안(Cloture, 필리버스터를 차단하고 법안 토론에 착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절차)을 거쳐 수정 절차에 들어간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기대감의 진원지인 지니어스 액트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핵심은 '허가제'…스테이블코인, 은행급 규제 적용지니어스 액트는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가받은 지급용 스테이블코인 발행자(permitted payment stablecoin issuer)'에 한정하는 '허가제'를 골자로 한다.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연방통화감독청(OCC)이 승인한 비은행 기관, 비보험 국립은행 및 연방기관으로 제한된다. 주 정부의 감독 하에 있는 비은행 기관도 규제 당국으로부터 허가를 받을 경우 예외적으로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가능하다. 다만 모든 발행자는 반드시 연방이 제시한 규제 기준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수준의 규제 준수를 입증해야 한다. 외국 발행사의 경우, 미국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규제 체계를 보유한 국가에 한해
글로벌 투자자금이 신흥국 증시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신용등급 하락과 재정적자 우려에 ‘셀 아메리카’(미국 자산 매도) 바람이 불면서다. 22일 ETF닷컴에 따르면 신흥국 증시에 투자하는 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인 ‘아반티스 이머징 마켓 에쿼티’(AVEM)에 최근 1개월 동안 11억560만달러(약 1조5266억원)가 순유입됐다. 미국 외 국가·권역에 투자하는 ETF 가운데 이 기간 순유입액이 가장 많았다. 올초부터 미국 증시 대안으로 주목받은 ‘뱅가드 FTSE 유럽’(VGK·9억8740만달러) ETF를 뛰어넘었다.신흥국 ETF에 자금이 몰린 것은 미국 외 투자처를 찾는 글로벌 투자자가 저평가된 신흥국 증시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달러가 약세를 보이고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는 상황에서 신흥국 주식보다 나은 선택지는 없다”고 단언했다.맹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