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드팩토 "ESMO 이후 빅파마 미팅 쇄도, 기술수출 가능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mOS 17.35개월, ORR은 18.75%
2021 ASCO 데이터 유사한 수준
차세대 TGF-β 저해제도 개발 중
MP2021, 뼈 질환 신규 후보물질
2021 ASCO 데이터 유사한 수준
차세대 TGF-β 저해제도 개발 중
MP2021, 뼈 질환 신규 후보물질

김성진 대표(사진)는 23일 서울 여의도 한국경제인협회에서 열린 주주대상 기업설명회(IR)에서 이같이 밝혔다. 메드팩토의 리드 파이프라인은 백토서팁이다.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백토서팁과 키트루다의 병용 요법에 대한 임상 1b·2a상을 진행 중이다.
백토서팁 300mg+키트루다 mOS 주목
백토서팁은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를 저해하는 형질전환증식인자 TGF-β 신호 전달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항암제다. 김 대표는 “기존 항암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암 성장에 중요한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하는 것에 대해 중요성이 알려졌다”며 “종양미세환경 조절의 대표 성장인자인 TGF-β 저해제에 대해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백토서팁은 저분자화합물이다. 특히 전이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면역항암제 머크(MSD) 키트루다와의 병용요법에서 좋은 치료 효과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기존 치료에 실패한 전이성 대장암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한 백토서팁(200㎎, 300㎎)과 키트루다 병용 투여군의 중간 데이터를 공개했다. 전체 생존기간 중간값(mOS)과 객관적반응률은 각각 15.8개월, 13.33%였다. 이 중 백토서팁 300㎎와 키트루다를 병용 투여한 환자군의 mOS는 17.35개월, ORR은 18.75%이다.
2021년 미국종양학회(ASCO)에서 발표한 데이터와 비교할 때 환자수가 2배 이상 증가했음에도 mOS(15.8개월)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백토서팁 300㎎에서는 mOS가 더 높았다.
메드팩토는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 진행을 위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 2b·3상 시험계획서(IND) 신청 준비를 마쳤다.
김 대표는 “ESMO 발표 후 글로벌에서 면역항암제와 대장암에 관심 있는 다국적 제약사들의 미팅 요청이 많이 들어오고 있다”며 “임상 2b·3상 IND 신청이 완료되면, 임상 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기 때문에 기술수출을 논의할 수 있는 파트너들이 더욱 많아질 것”이라고 했다.
골육종·다발수골수종으로 확장
김 대표는 “백토서팁이 모든 스테이지에서 다 작용하는 것이 아니다”며 “백토서팁이 공략하지 못하는 부분에 적용 가능한 차세대 TGF-β 저해제도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이어 “이 물질은 다른 글로벌 회사가 개발하고 있는 TGF-β 저해제가 종양미세환경을 직접 타깃하지 못하고 단독으로 효과가 없다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며 “종양미세환경을 제어하는 신개념면역항암제로, 2024~2025년 IND 제출이 예상된다”고 했다.
백토서팁 골육종 임상 1·2상의 미국 내 첫 환자 투약을 완료했다. 골육종에서 백토서팁 단독요법은 미국과 유럽에서 희귀의약품, 미국에서 희귀소아질환의약품, 신속심사제도 개발 품목으로 지정받았다.
김 대표는 “적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개발이 가능하고, 내년부터 효과를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다발성골수종 적응증으로도 개발 중이다. 백토서팁이 기존 치료제인 포말리도마이드(Pomalidomide)와 병용해 기존 2차, 3차 요법보다 효과가 좋다는 것은 확인했다. 부작용이 심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포함하지 않는 백토서팁 병용조합에서 효과를 확인한 게 특징이다. 상대적으로 고령 환자가 많은 다발성공수종 환자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약물로도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신규 파이프라인, 뼈 질환 치료제
메드팩토는 백토서팁 이후 차기 신약 파이프라인도 소개했다. 뼈 질환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MP2021은 류머티즘 관절염, 건선 관절염, 골다공증 등 뼈 질환과 자가면역질환을 표적으로 하는 신규 후보물질이다.염증을 억제하는 기전을 중심으로 한 기존 치료제와 달리 MP2021은 염증 억제 효과와 더불어 뼈를 파괴하는 다핵 파골세포 형성을 근본적으로 막아 골 손실을 억제한다. MP2021은 국가신약개발사업(KDDF) 신약 비임상 개발 단계 지원 과제로 선정됐다.
최근 미국류머티즘학회 2023에서 공개된 전임상 데이터를 보면 MP2021은 콜라겐 유발 관절염(CIA) 마우스 모델에서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게 확인됐다. MP2021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연골 손상, 뼈 침식,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이 현저히 감소했다.
메드팩토는 MP2021을 류머티즘 관절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과 골다공증 등 뼈 질환 치료제로 개발했다. 앞으로 관련 임상을 진행하고 공동개발과 기술수출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유림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