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개혁 빨리, 복지확대 신중히"…오늘 아닌 '내일' 바라본 청년들
2030세대와 40대 이상 기성세대는 한국의 미래부터 각종 정책에 이르기까지 사안별로 상반된 시각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20~30년 뒤 한국의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에서 두 집단의 의견이 엇갈렸다.

한국경제신문과 여론조사업체 피앰아이가 지난 13~18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세대별 인식 조사’에 따르면 10년 뒤 미래를 가장 부정적으로 본 세대는 20대였다. 10년 후 한국이 지금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답변한 비율은 11.0%에 불과했다. 60대 이상 응답자 중 10년 이후를 긍정적으로 본 비율(27.2%)과 비교해 3분의 1 수준이다. 30대 역시 16.7%만 10년 뒤 한국이 지금보다 나을 것으로 전망했다.

10년 후 미래를 어둡게 본 이유도 세대별로 달랐다. ‘저출생·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평균 48.1%·복수응답)가 가장 큰 문제라는 데는 모든 세대가 동의했다. 2030세대와 40대 이상이 서로 다른 비율로 선택한 답변은 ‘포퓰리즘 정책에 따른 국가재정 악화’였다. 2030세대 가운데 21.3%가 이 항목을 택해 40대 이상(17.5%)보다 포퓰리즘의 부작용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한국이 발전하려면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지에 관한 견해도 달랐다. 2030세대 가운데 22.6%는 연금개혁과 노동개혁 등 구조개혁 작업을 추진하는 게 급선무라고 답했는데, 40대 이상(15.1%)과 비교해 7.5%포인트 높았다. 반대로 양극화 해소에 힘써야 한다는 답변 비율은 40대 이상에서 26.6%였지만, 2030세대는 19.3%만 공감했다.

복지 정책에 대한 의견도 달랐다. 국가 부담을 늘리더라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복지를 확대하는 데 동의한 2030세대는 전체의 5.6%였다. 40대 이상은 이 비율이 8.3% 수준이었다. 점진적 복지 확대에는 2030세대가 39.7%, 40대 이상은 43.2%가 동의했다. 2030세대가 기성세대보다 복지 확대에 동의하는 비율이 낮다는 의미다.

2030세대는 40대 이상에 비해 증세에 부정적이었다. 소득 불평등 완화 등을 위해 세금을 더 걷자는 주장에 2030세대는 19.7%만 동의했다. 40대 이상은 34.4%가 증세를 하자고 답했다.

국민연금 개혁 방안엔 각 세대가 다양한 답변을 내놨는데, 눈에 띄는 점은 2030세대의 13.4%가 국민연금 제도를 아예 폐지하자고 답한 것이다. 40대 이상 답변 비율(9.5%)과 3.9%포인트 차이 났다. 특히 20대는 16.1%가 국민연금을 없애기를 원한다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2030세대가 상대적으로 젊다 보니 당장 이득이 되는 정책보다 장기적으로 경제에 부담을 덜 주는 정책을 선호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또 복지 확대를 지향하는 40대 및 50대를 향한 반감, 문재인 정부 시절 지나친 반(反)시장적 정책에 대한 불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홍기용 인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60대 이상은 스스로 미래를 일군 세대이고, 4050은 경제 성장 및 복지 확대의 과실을 고스란히 누린 세대”라며 “2030세대는 복지 증가의 혜택을 거의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데, 자신이 짊어져야 할 부담인 국가부채가 늘어나는 것을 보면 불합리하다고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병욱/강진규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