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캐나다에 이어 멕시코도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맞서 보복관세를 예고했다. 다만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캐나다와 멕시코의 관세율을 낮출 가능성을 시사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결정은 아무런 정당성이 없다”며 “우리는 미국의 결정에 관세, 비관세 조처로 맞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는 9일 구체적 대응책을 공개하겠다고 했다.

앞서 중국과 캐나다는 미국에 보복관세 조치를 내놨다.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등에 최대 15% 관세를 물리겠다고 했고, 캐나다는 1550억캐나다달러(약 155조원) 규모의 미국 제품에 25% 관세를 매기겠다고 했다. 이 중 300억캐나다달러어치는 이날부터, 나머지 1250억캐나달러어치는 21일부터 관세를 부과한다.

이와 관련해 러트닉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오늘 온종일 멕시코, 캐나다 관계자들과 전화 통화를 했다. 그들은 자신이 더 잘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려고 했다”며 “대통령은 (멕시코, 캐나다의 의사를) 듣고 있고, 매우 공정하고 합리적인 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이 그들과 함께 뭔가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것은 (관세) 유예가 아니며, 그는 방법을 찾아낼 것”이라고 했다. 최종 해결법에 대해선 “당신들이 더 많은 조치를 취하면 중간 지점에서 만날 것”이라고 했다. 이르면 5일 이와 관련한 조치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러트닉 장관 발언은 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 부과한 25% 관세를 일부 조정할 가능성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의 조치에 따라 북미 3국 간 무역전쟁이 확전으로 치달을지, 봉합될지가 결정될 전망이다. 러트닉 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도 “캐나다와 멕시코가 마약성 진통제인 펜타닐의 미국 유입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면 관세 부과를 중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러트닉 장관은 관세율이 어느 정도로 줄어들지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또 트럼프 1기 때 체결된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과 관련해 “(멕시코와 캐나다가) 이 규칙을 준수하면 대통령은 관세 완화를 고려하겠지만 규칙을 지키지 않는다면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강경 모드를 이어갔다. 이날 SNS를 통해 “캐나다가 미국에 보복관세를 부과하면 우리의 상호관세는 즉각 같은 수준으로 인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동현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