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네·르누아르…인상파 그림 볼 땐 액자와의 조화까지 보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그림의 일부라 생각…화가가 디자인도
화려한 금박·계단식 프레임 적극 사용
화려한 금박·계단식 프레임 적극 사용

한국경제신문사가 미국 우스터미술관과 함께 인상주의 탄생 150주년을 맞아 선보이고 있는 ‘인상파, 모네에서 미국으로: 빛, 바다를 건너다’ 특별전에 걸린 걸작 53점은 화려한 프레임으로 관람객의 눈길을 먼저 사로잡는다.
지난달 14일 전시 개막에 앞서 서울 여의도 더현대서울 ALT.1 전시장에서 만난 마티아스 바섹 우스터미술관장은 “그림만 감상한다면 80점, 프레임과 그림의 조화까지 볼 줄 안다면 100점의 관람객”이라고 말했다. 바섹 관장은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아랍 여인’(1882)을 가리키면서 “호화롭게 마감된 진정한 로코코 양식이 연상되지 않느냐”며 “프레임 스타일을 비교해보면 미술사조를 엿볼 수 있다”고 했다.

1890년대 작품 중엔 장식을 덜어내고 보다 단조로운 양식을 선호한 아르누보 형태의 프레임이 돋보인다. 존 헨리 트와츠먼의 ‘폭포’(1890)가 그렇다. 프랑스 인상파 화가는 파리 ‘살롱전’을 통해 세상에 이름을 알렸는데, 당시 수집가들은 자신의 저택이나 집무실에 걸기 위해 그림을 사들였다. 유행하던 실내 건축 양식, 즉 르네상스, 바로크 또는 로코코 인테리어와 어울려야 잘 팔렸고, 그 결과 두터운 부조의 황금빛 프레임을 갖게 됐다. 실제 르누아르와 모네 등의 예술가는 팔리기 어려운 흰색의 프레임을 버리고 풍부한 패턴의 금박이나 계단식으로 조각된 프레임을 적극 사용했다.

“과거의 금빛 프레임을 그대로 복원할 것인가를 두고 오래 고민한 작품이었습니다. 미술관 이사회 멤버들과 오래 논의한 끝에 그림을 가장 돋보이게 하는 심플한 프레임으로 바꿨어요. 더 조화롭지 않나요?”
김보라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