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서울우유, 홈플러스에 뒤늦게 공급 중단…'빈 매대' 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일 농심과 서울우유는 이날부터 홈플러스에 제품 공급을 일시 중단했다. 농심과 서울우유가 홈플러스에 물품 대금을 '선입금'을 해달라고 요청했으나 홈플러스가 이를 거절하면서 공급이 중단됐다. 통상 공급사들은 제품을 먼저 제공한 후 정산을 받지만, 홈플러스가 회생절차에 들어가며 자금사정이 악화하자 이러한 조치를 요구했다.
농심 관계자는 "현재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에 들어간 상황임을 고려한 것"이라며 "정산에 대해 의견 차이가 좁혀진다면 언제든지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우유 측도 "결제 주기 단축, 선입금 등을 비롯한 요구를 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공급을 일시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홈플러스는 45~60일 사이의 정산 주기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를 다른 대형마트(약 25~30일) 수준으로 줄여달라는 것이다.
지난 6일 오뚜기, 동서식품, 롯데웰푸드, 롯데칠성음료 등 주요 식품기업들이 홈플러스에 줄줄이 공급을 중단하면서 홈플러스의 재고 부족 우려가 커졌다. 이후 업체들이 물품 공급을 재개하며 상황이 개선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업계 1위인 농심, 서울우유가 뒤늦게 공급 중단에 나서자 재고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드는 상황이다.
다른 식품업체들은 일단 정상 공급을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A 식품업체 관계자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지만 당장 공급을 중단할 이유는 없다"고 했다. B 업체 관계자는 "중견 업체들은 매출 유지를 위해서라도 일단 공급을 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했다.
홈플러스는 "오랫동안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을 이어온 협력사인 만큼 현 상황에 대해 잘 소통함으로써 이른 시일 내에 합의를 완료할 수 있게 하겠다"고 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4일 회생개시 후 납품대금 등 상거래채권은 정상 지급하고 있으나 작년 12월부터 올해 1·2월 발생한 밀린 상거래 채권에 대해선 영세·소상공인에 먼저 지급 중이다. 이날 오전까지 상거래채권 지급액은 누적 3863억원이다.
배태웅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