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비' 없이 이길 수 없는 게임, 모든 딜은 '골프장'에서 이뤄진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하정우의 세 번째 연출작
코미디 영화 '로비' 리뷰
4조 국책 사업을 얻기 위한 진흙탕 싸움
과도한 집단주의와 허례허식...
한국 골프 문화를 투명하고 비판적으로 반영
코미디 영화 '로비' 리뷰
4조 국책 사업을 얻기 위한 진흙탕 싸움
과도한 집단주의와 허례허식...
한국 골프 문화를 투명하고 비판적으로 반영

지난 2일 개봉한 <로비>는 배우 하정우의 연출 데뷔작 <롤러코스터>(2013) 그리고 <허삼관>(2015)에 이은 세 번째 연출작이다. 영화는 오랜 시간의 연구로 전기자동차 충전 기술을 개발한 두 친구가 라이벌이 되어 만나는 시점에서 전개된다. ‘창욱’(하정우)은 비교적 정직한 방법으로 사업을 유지하려는 반면, 그의 라이벌 ‘광우’(박병은)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사업을 키우고자 하는 야심가이다. 창욱의 회사가 보유한 기술이 광우를 앞서지만 자금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이다.


작품들이 갖는 두 번째 공통점은 이 한정된 공간에 매우 많은 인물을 배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롤러코스터>가 메인 캐릭터인 ‘마준규’(정경호)를 중심으로 하고 있지만, 그와 함께하는 승객들, 승무원 등 모두가 영화의 에피소드를 채우듯 이번 <로비>에서도 창욱과 광우를 포함한 메인 캐릭터는 (두 개의 라운딩을 대조하여 보여주므로) 적어도 8명에 달한다. 물론 라운딩 밖에서 로비를 돕는 조력자 캐릭터로 분하는 ‘김 이사’(곽선영)와 창욱의 조카인 ‘호식’(엄하늘) 등 사건의 중심을 오가는 인물들은 더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영화는 너무 많은 캐릭터가 빚어내는 너무 많은 사건, 혹은 상황극들로 웃음보다는 피로감을 더 한다. 예컨대 ‘로비’와 크게 상관없는 컨트리 클럽 대표의 아내 ‘다미’(차주영)와 조장관의 라운딩에 끼게 되는 배우 '마태수'(최시원)의 황당한 로맨스 같은 설정은 8명 (더하기 외부 요원들)에게 모두 에피소드를 만들어 줘야 하는 명분으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 ‘사족’이다.


그럼에도 <로비>를 통해 감독 하정우가 증명한 것이 있다면 그의 뛰어난 관찰력이다. 폭죽처럼 끊임없이 터지는 에피소드의 틈에서 그가 정말로 골프장에서 보고 겪었을 상황들, 예컨대 굳이 식전에 모여 아침을 같이 먹는다거나 운동 중간에 술을 마셔야 하는 등 과도한 집단주의와 허례허식이 포함된 한국식 골프 문화를 비교적 투명하고 비판적으로 반영한다. 따라서 이번 작품 <로비>는 감독으로서 하정우의 완성작이 아닌, 그의 실패와 잠재력을 모두 보여주는 서막이 될 것이다.
김효정 영화평론가•아르떼 객원기자
[영화 '로비' 공식 예고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