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1000㎞가는 4세대 LFP 양극재 만든다...韓은 4.5세대로
중국 주요 배터리 양극재 회사들이 올해부터 2.60g/cc 이상의 고밀도 LFP(리튬인산철) 양극재를 양산한다. 주행거리 1000㎞ 이상의 전기차를 만들 수 있는 4세대 LFP 소재다. 후발주자인 국내업체들은 중간단계를 건너뛰고 4.5세대 LFP 양극재 생산 계획으로 대응책을 세우고 있다.

7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후난 운능, 푸린 정공 등 중국 회사들은 이미 양극재 밀도 2.60g/cc 이상 4세대 LFP 양극재생산를 위해 공장 라인을 가동하고 있다. 제품은 CATL, BYD 등에 납품될 예정이다. CATL은 이미 선급금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3세대 LFP 양극재(밀도 2.20~2.40g/cc)에 비해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15~20% 끌어올릴 수 있다. 4세대 LFP 양극재 에너지 밀도가 평균적인 삼원계 배터리 양극재 수준까지 올라오고 있다는 분석이다. CATL은 4세대 양극재를 기반으로 한 자사의 차세대 배터리 'Shenxing Plus'를 이르면 올해내 생산할 계획이다. 룽판 테크, 더팡 나노 등 나머지 중국회사들도 고밀도 LFP 개발을 해온만큼 조만간 4세대 LFP 양극재 양산체제를 갖출 것이란 관측이다. 현재 3세대 LFP 양극재는 생산비용과 판매가격이 동일한 수준까지 공급 과잉이 나타나고 있다. 고밀도 LFP가 아니면 이윤을 내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의미다.

내년부터 LFP 양극재를 양산할 예정인 국내기업들은 중국회사들에 맞서 한단계를 건너뛰어 4.5세대 초고밀도 LFP 양극재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엘앤에프는 밀도 2.70g/cc 이상의 LFP 양극재 양산체제를 내년까지 갖출 예정이다. 5만t 규모로 전기차용,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모두를 개발해 국내 셀사에 납품할 계획이다. 이미 파일럿 라인을 가동중이다. 중국회사로 눈을 돌리는 국내 회사들을 사로잡겠다는 목표다. 국내 배터리셀사중 유일하게 LFP를 생산하고 있는 LG에너지솔루션은 현재 중국회사로부터 양극재를 공급받고 있다. 에코프로비엠도 유사한 수준의 초고밀도 LFP 양극재 생산을 위해 올해 2분기 파일럿 단계에 돌입할 예정이다.

다만 포스코퓨처엠은 LFP 자체의 밀도를 높이기보다는 다른 소재를 활용해 기존 LFP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LFP 양극재와 유사하지만 삼원계 소재중 하나인 망간을 이용한 LMR(리튬리치망간) 양극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성상훈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