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에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참여를 요구하면서 한국가스공사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민간 기업 중 알래스카에 투자할 곳이 없다면 공기업인 가스공사가 나설 수밖에 없어서다. 가스공사는 사업비 60조원의 대규모 프로젝트에 큰돈을 넣을 여력이 없다. 알래스카산 LNG 도입의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알래스카 프로젝트와 판박이…'캐나다산 LNG' 곧 들어온다
16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는 오는 7월 8일 ‘LNG 캐나다’ 프로젝트 준공식을 열기로 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키티맷에 400억캐나다달러를 들여 LNG 수출용 터미널 등을 짓는 프로젝트다. 혼리버, 몬트니 등 가스전에서 채굴한 셰일가스를 키티맷에서 액화해 배편으로 아시아에 수출하는 구조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공사는 끝났고 마무리 작업 중”이라며 “이르면 다음달 말 수출이 시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스공사는 이 프로젝트의 지분 5%를 갖고 있다. 나머지는 석유 메이저인 셸(40%),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25%)와 중국 페트로차이나(25%), 일본 미쓰비시(15%)가 투자했다. 액화한 LNG를 지분대로 나누는 구조다. 가스공사도 70만t 규모 캐나다산 LNG를 확보해 국내에 들여올 수 있게 된다.

문제는 이 프로젝트가 알래스카 LNG와 겹친다는 점이다. 두 프로젝트 모두 동아시아를 판매처로 삼는 데다 파나마운하 등을 거칠 필요 없이 태평양으로 열흘이면 운송이 가능하다는 점을 내세운다. 가격 경쟁력도 LNG 캐나다가 낫다는 분석이다. 알래스카 프로젝트에선 남부와 북부를 잇는 1200㎞ 길이 배관을 새로 깔아야 하는데 캐나다의 배관 총연장 670㎞보다 길다. 공사 중 어떤 변수가 발생할지도 불확실하다. 김태식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가스 도입처는 다양할수록 좋긴 하지만 (알래스카) 가스를 얼마에 가져올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가스공사는 지난 15일 알래스카주정부와 첫 미팅을 했다. 지분 투자와 LNG 구매 물량에 대한 구체적 요청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이 관세협상 결과로 참여를 결정하고 가스공사가 나선다면 48조원 규모 가스공사 부채 문제부터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훈/김리안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