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AI에 필수" … 日, 원전 재가동 속도 높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훗카이도, 라피더스 반도체 공장
소프트뱅크 데이터센터 들어서
10년 뒤 전력수요 12% 늘어날 듯
日 "원전 비중 8.5%→20% 확대"
기존 30기 재가동해야 달성 가능
폐쇄 부지에 원전 재건축도 허용훗카이도 '도마리 원전' 재가동 준비 마쳐
소프트뱅크 데이터센터 들어서
10년 뒤 전력수요 12% 늘어날 듯
日 "원전 비중 8.5%→20% 확대"
기존 30기 재가동해야 달성 가능
폐쇄 부지에 원전 재건축도 허용훗카이도 '도마리 원전' 재가동 준비 마쳐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로 한때 원전을 기피했던 일본이 원전 가동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가 라피더스 반도체 공장과 소프트뱅크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는 홋카이도에서 그동안 가동 중단한 도마리 원전 3호기의 재가동을 승인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수적인데, 원전 가동 없이는 이를 뒷받침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일본에서 확산되고 있다.
◇반도체·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원자력규제위가 오는 30일 정례회의에서 홋카이도전력의 도마리 원전 3호기에 대해 사실상 안전 심사 합격증인 ‘심사 서안’을 승인할 전망이라고 24일 보도했다. 홋카이도전력은 방조제 공사를 마친 뒤 2027년 이 원전을 재가동할 계획이다.
도마리 원전 3호기는 2009년 가동을 시작한 일본 내 최신 원전으로, 출력은 91만2000㎾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하자 ‘탈원전’ 바람에 휩쓸려 2012년 5월 가동을 중단했다. 홋카이도전력은 이후 2013년 원전 재가동을 신청했다. 같은 시기에 재가동을 신청한 다른 원전은 이미 대부분 ‘OK’ 사인을 받았다. 하지만 도마리 원전은 부지 내 단층이 지진에 취약한지를 판단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2021년 안전성 문제가 해소된 뒤 다른 재해 영향 등에 대한 심사가 이뤄졌다.
심사가 길어지는 가운데 홋카이도의 에너지 수급 상황은 급변했다. 전력 소비가 많은 반도체 공장과 데이터센터 진출이 이어지면서다. 최첨단 반도체 양산을 목표로 하는 라피더스는 이달부터 홋카이도 공장에서 시험 생산을 시작했고, 소프트뱅크는 2026년 데이터센터 운영을 시작한다. 홋카이도 전력 수요는 2034년 312억㎾h로 올해 대비 12% 증가할 전망이다. 원전 재가동을 위해서는 지역 주민 동의도 필요하다. 스즈키 나오미치 홋카이도지사는 “다양한 에너지 구성으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홋카이도전력 측은 “도지사도 최종적으로 동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원전 최대한 활용”
일본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모든 원전 가동을 멈췄다. 이후 새로운 안전기준을 마련했고, 2015년 규슈 센다이 원전 1호기를 재가동하며 ‘원전 국가’로 돌아왔다. 작년 12월엔 혼슈 시마네 원전 2호기를 재가동하며 총 36기의 원전 중 재가동 원전을 14기로 늘렸다.
올 들어선 원전 확대 방침을 공식화했다. 2월 각의(국무회의)에서 에너지기본계획을 개정하며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명시한 ‘원전 의존도를 가능한 한 줄인다’는 문구를 삭제하고, ‘최대한 활용’ 방침을 밝혔다. 2040년 전력 구성비 목표로 재생에너지 40∼50%, 원전 20%, 화력 30∼40%를 제시했다.
현재 일본은 화력 발전 의존도가 압도적으로 높다. 화력 비중이 68.6%에 달한다. 재생에너지는 22.9%, 원전은 8.5%다. 일본 에너지업계에선 정부 방침대로 2040년 원전 비중을 20%로 높이려면 가동 원전을 30기가량으로 늘려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 정부는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원전 폐쇄 후 재건축 때 기존 부지 외에 다른 부지에도 원전을 지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동안 원전 재건축이 가능한 장소를 ‘폐쇄를 결정한 원전 부지’로 한정했는데 이런 제한을 없앤 것이다. 발전회사에 폭넓은 선택권을 제공해 원전 건설을 늘리기 위한 조치다.
원전 주변에 진출하는 기업과 공장에는 세금과 전기요금을 줄여줄 방침이다. AI·로봇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과 대규모 반도체 공장 등이 대상이다. 대상 기업은 ‘탈탄소 전기’를 사용한다는 계약을 전력회사와 맺어야 한다. 원전은 탈탄소 에너지로 분류된다. 요미우리신문은 “세계적인 정보기술 대기업과 반도체 업체는 안정적인 탈탄소 전원 공급을 (공장 가동을 위한) 조건으로 삼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김일규 특파원 [email protected]
◇반도체·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원자력규제위가 오는 30일 정례회의에서 홋카이도전력의 도마리 원전 3호기에 대해 사실상 안전 심사 합격증인 ‘심사 서안’을 승인할 전망이라고 24일 보도했다. 홋카이도전력은 방조제 공사를 마친 뒤 2027년 이 원전을 재가동할 계획이다.
도마리 원전 3호기는 2009년 가동을 시작한 일본 내 최신 원전으로, 출력은 91만2000㎾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하자 ‘탈원전’ 바람에 휩쓸려 2012년 5월 가동을 중단했다. 홋카이도전력은 이후 2013년 원전 재가동을 신청했다. 같은 시기에 재가동을 신청한 다른 원전은 이미 대부분 ‘OK’ 사인을 받았다. 하지만 도마리 원전은 부지 내 단층이 지진에 취약한지를 판단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2021년 안전성 문제가 해소된 뒤 다른 재해 영향 등에 대한 심사가 이뤄졌다.
심사가 길어지는 가운데 홋카이도의 에너지 수급 상황은 급변했다. 전력 소비가 많은 반도체 공장과 데이터센터 진출이 이어지면서다. 최첨단 반도체 양산을 목표로 하는 라피더스는 이달부터 홋카이도 공장에서 시험 생산을 시작했고, 소프트뱅크는 2026년 데이터센터 운영을 시작한다. 홋카이도 전력 수요는 2034년 312억㎾h로 올해 대비 12% 증가할 전망이다. 원전 재가동을 위해서는 지역 주민 동의도 필요하다. 스즈키 나오미치 홋카이도지사는 “다양한 에너지 구성으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홋카이도전력 측은 “도지사도 최종적으로 동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원전 최대한 활용”
일본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모든 원전 가동을 멈췄다. 이후 새로운 안전기준을 마련했고, 2015년 규슈 센다이 원전 1호기를 재가동하며 ‘원전 국가’로 돌아왔다. 작년 12월엔 혼슈 시마네 원전 2호기를 재가동하며 총 36기의 원전 중 재가동 원전을 14기로 늘렸다.
올 들어선 원전 확대 방침을 공식화했다. 2월 각의(국무회의)에서 에너지기본계획을 개정하며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명시한 ‘원전 의존도를 가능한 한 줄인다’는 문구를 삭제하고, ‘최대한 활용’ 방침을 밝혔다. 2040년 전력 구성비 목표로 재생에너지 40∼50%, 원전 20%, 화력 30∼40%를 제시했다.
현재 일본은 화력 발전 의존도가 압도적으로 높다. 화력 비중이 68.6%에 달한다. 재생에너지는 22.9%, 원전은 8.5%다. 일본 에너지업계에선 정부 방침대로 2040년 원전 비중을 20%로 높이려면 가동 원전을 30기가량으로 늘려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 정부는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원전 폐쇄 후 재건축 때 기존 부지 외에 다른 부지에도 원전을 지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 그동안 원전 재건축이 가능한 장소를 ‘폐쇄를 결정한 원전 부지’로 한정했는데 이런 제한을 없앤 것이다. 발전회사에 폭넓은 선택권을 제공해 원전 건설을 늘리기 위한 조치다.
원전 주변에 진출하는 기업과 공장에는 세금과 전기요금을 줄여줄 방침이다. AI·로봇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과 대규모 반도체 공장 등이 대상이다. 대상 기업은 ‘탈탄소 전기’를 사용한다는 계약을 전력회사와 맺어야 한다. 원전은 탈탄소 에너지로 분류된다. 요미우리신문은 “세계적인 정보기술 대기업과 반도체 업체는 안정적인 탈탄소 전원 공급을 (공장 가동을 위한) 조건으로 삼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김일규 특파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