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봉석 부회장·김범수 의장…'CEO 양성소' 산업공학과의 핵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대 산업시스템혁신연구소는
'공대 안의 경영학과' 산업공학
산업을 꾸미는 디자인의 場
산업시스템硏 IT를 몸통으로
다양한 분야 협업 시스템 갖춰
'공대 안의 경영학과' 산업공학
산업을 꾸미는 디자인의 場
산업시스템硏 IT를 몸통으로
다양한 분야 협업 시스템 갖춰
내로라하는 정보기술(IT) 기업을 이끄는 인물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산업공학과 출신이라는 점이다.
산업공학과는 ‘공대 안의 경영학과’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수많은 최고경영자(CEO)를 배출해냈다. 대표적 인물이 2011년부터 애플을 책임지고 있는 팀 쿡 CEO다. 애플의 공급망을 혁신하고 비즈니스 운영 능력을 내세워 산업공학적 사고와 시스템 최적화 역량을 경영 전반에 적용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권봉석 LG 부회장,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등 국내에서도 걸출한 CEO들이 서울대 산업공학과에서 대학 시절을 보냈다.
산업공학과는 어떻게 공대 안의 CEO 양성소가 됐을까. 그 비결을 묻자 윤명환 서울대 산업시스템혁신연구소 소장(산업공학과 교수)은 “공학이 무언가를 만드는 ‘제조의 현장’이라면 산업공학과는 산업을 꾸미는 ‘디자인의 장’에 더 가깝다”는 답변을 내놨다. 기술을 양산하고 생산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학문이라는 뜻이다.
공학의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탄생한 기술들을 넓은 관점에서 통합하는 방식을 공부하는 곳이 산업공학과다. 각 기술을 잘 알아야 하는 데다 산업을 다루는 거시적 관점도 지닐 수 있기 때문에 CEO를 많이 배출할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울대 산업공학과의 핵심인 산업시스템혁신연구소는 2014년 ‘디지털 전환과 산업 인공지능(AI)을 양대 축으로 삼아 사회와 인간이 중심이 되는 사회기술시스템 시대를 창조한다’는 목표로 세워졌다. 공학의 각 분야를 연결하는 연구 생태계 조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소는 디지털 기술을 산업의 몸통으로, 산업 AI를 두뇌로 여긴다. 동시에 두 기술이 실제 사회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사회적 맥락과 사용자 경험, 조직 프로세스를 함께 고민한다. 디지털 전환과 산업 AI 기술이 서로 맞물려 조화롭게 작동할 때 더 나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사회기술시스템 시대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 연구소는 공학은 물론 사회과학, 인문학,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와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학제의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학문의 융합을 통해 미래 복합 사회기술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 설립 이후 지난해까지 연구소는 논문 289편을 내고 특허 출원 및 기술 이전 49건의 성과를 올렸다.
최지희 기자 [email protected]
산업공학과는 ‘공대 안의 경영학과’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수많은 최고경영자(CEO)를 배출해냈다. 대표적 인물이 2011년부터 애플을 책임지고 있는 팀 쿡 CEO다. 애플의 공급망을 혁신하고 비즈니스 운영 능력을 내세워 산업공학적 사고와 시스템 최적화 역량을 경영 전반에 적용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권봉석 LG 부회장,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등 국내에서도 걸출한 CEO들이 서울대 산업공학과에서 대학 시절을 보냈다.
산업공학과는 어떻게 공대 안의 CEO 양성소가 됐을까. 그 비결을 묻자 윤명환 서울대 산업시스템혁신연구소 소장(산업공학과 교수)은 “공학이 무언가를 만드는 ‘제조의 현장’이라면 산업공학과는 산업을 꾸미는 ‘디자인의 장’에 더 가깝다”는 답변을 내놨다. 기술을 양산하고 생산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학문이라는 뜻이다.
공학의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탄생한 기술들을 넓은 관점에서 통합하는 방식을 공부하는 곳이 산업공학과다. 각 기술을 잘 알아야 하는 데다 산업을 다루는 거시적 관점도 지닐 수 있기 때문에 CEO를 많이 배출할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서울대 산업공학과의 핵심인 산업시스템혁신연구소는 2014년 ‘디지털 전환과 산업 인공지능(AI)을 양대 축으로 삼아 사회와 인간이 중심이 되는 사회기술시스템 시대를 창조한다’는 목표로 세워졌다. 공학의 각 분야를 연결하는 연구 생태계 조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연구소는 디지털 기술을 산업의 몸통으로, 산업 AI를 두뇌로 여긴다. 동시에 두 기술이 실제 사회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사회적 맥락과 사용자 경험, 조직 프로세스를 함께 고민한다. 디지털 전환과 산업 AI 기술이 서로 맞물려 조화롭게 작동할 때 더 나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사회기술시스템 시대를 현실로 만들기 위해 연구소는 공학은 물론 사회과학, 인문학,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와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학제의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학문의 융합을 통해 미래 복합 사회기술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 설립 이후 지난해까지 연구소는 논문 289편을 내고 특허 출원 및 기술 이전 49건의 성과를 올렸다.
최지희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