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689.1.png)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692.1.png)
1. 4월 고용 좋았지만 신기루?
미 노동부는 아침 8시 30분 4월 고용보고서를 발표됐는데요. 월가가 예상한 수준으로 나왔습니다. 아직 무역전쟁 여파가 노동시장에는 나타나지 않은 것입니다.
▶비농업 신규고용 : +17만7000개 (예상 +13만8000개, 3월 19만5000건)
▶실업률: 4.2% (예상 4.2%, 3월 4.2%)
▶평균 시간당 임금: 전월 대비 +0.2% (예상 +0.3%, 3월 +0.3%)
▶평균 주당 근로시간: 34.4시간 (예상 34.2시간, 3월 34.2시간)
▶경제활동 참여율: 62.6% (예상 62.5%, 3월 62.5%)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697.1.png)
실업률도 4.2%로 변화가 없었습니다.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따지면 3월 4.152%에서 4월 4.187%로 살짝 높아지긴 했습니다. 가계조사에서 취업자가 43만6000명(3월 20만1000명) 증가했지만, 경제활동에 새로 참여한 사람이 2023년 8월 이후 가장 많은 51만8000명에 달하였기 때문입니다. 실업률은 조금씩이긴 하지만 1월 4.011%→2월 4.139%→3월 4.152%→4월 4.187%로 계속 올라가고 있습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04.1.png)
경제활동 참여율은 62.6%로 소폭 상승했고요. 시간당 평균 임금은 0.2% 상승해 3월(+0.3%)보다 둔화했습니다. 전년 동기로는 3.8%로 유지됐지만, 최근 3개월 치를 연율로 바꾸면 2.6%로 느려졌습니다.
상호관세 충격에도 좋았던 이유는 뭘까요. 판테온매크로는 "4월 고용 증가의 일부는 기업들이 관세 부과를 앞두고 수입을 서두른 데 기인했을 수 있다. 창고운송업 고용이 2만9000개 증가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광범위한 관세 부과를 발표했지만, 4월 9일에는 90일 유예를 발표했다. 기업들은 2, 3월에 내려진 인력 채용 결정을 시행했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썼습니다.
문제는 앞으로 악화할 것으로 관측된다는 점입니다. 관세 탓이죠. EY의 그레고리 다코 이코노미스트는 "완벽하지만, 곧 사라질 신기루 같은 고용보고서"라고 불렀습니다.
TD뱅크는 "4월 고용은 금융시장을 휩쓴 혼란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은 회복세를 유지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방심해서는 안 된다. 4월 고용 조사는 2일 상호관세 발표 후 한두 주 만에 실시되었기 때문에, 해고가 의미 있는 수준으로 급증했다고 보기에는 너무 이르다. 높아진 관세 불확실성은 이미 경제 성장에 부담을 주기 시작했으며, 그 영향은 곧 노동시장으로 파급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분석했습니다.
프린시펄애셋의 시먀 샤 전략가는 "경기 침체 우려는 다음 달로 미룰 수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4월 고용은 여전히 매우 탄탄하며 관세 충격 이전에는 경제가 상당한 힘을 갖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침체가 실제 수치로 나타나기까지는 아직 몇 달이 걸릴 수 있음을 나타내며, 결국 미 중앙은행(Fed)의 다음 금리 인하는 3분기로 미뤄질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예상을 상회한 4월 고용과 어제 우려했던 것보다는 좋았던 4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를 반영하여 올해 첫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예상을 6월에서 7월로 늦춘다"라고 밝혔습니다.
에버코어ISI는 "고용에 별 변화가 없었다는 것은 고용주들이 관세 발표 직후 적극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제 부과 전까지 아주 단기적으로 기다려 보겠다는 접근 방식을 가리킨다. 관세가 실제 지표에 더 크게 반영되기까지는 한두 달 정도 더 걸릴 것이다. Fed는 3분기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야 비로소 경제활동, 고용, 인플레이션 효과에 대한 명확한 전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첫 금리 인하 시점을 6월에서 7월로 바꾼다"라고 밝혔습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21.1.png)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22.1.png)
2. 중국과 협상 시작?
밤새 무역 협상 전선에서도 긍정적 소식이 나왔습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미국이 여러 차례 적극적으로 메시지를 보내와 대화하기를 희망했다. 이에 대해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미국이 대화하고 싶다면 일방적 관세 부과를 철회하는 등 성의를 보여야 한다"라고 덧붙였지만, 분명히 기존 태도보다는 진전된 것이었습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26.1.jpg)
블룸버그는 또 중국 정부가 무역전쟁으로 인한 경제 타격을 완화하기 위해 약 400억 달러, 즉 대미 수입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131개 상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의 스티브 마이런 위원장은 중국과의 협상에 대한 질문을 받고 "몇 주 안에 관세율이 지금 수준에 머무른다면 나는 놀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27.1.jpg)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는 다음주 화요일에 워싱턴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카니 총리는 단기 무역 압박과 더 광범위한 경제 전망에 협상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유럽연합(EU)은 마로시 셰프초비치 무역 담당 집행위원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향해 "어느 정도 진전"을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뷰에서 "무역적자 문제라고 보는 게 500억 유로라면 (미국산) LNG나 대두 등 일부 농작물을 통해 이 문제를 굉장히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라고 설명했습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31.1.png)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32.1.jpg)
3. 그렇게 나쁘지 않은 아마존
어제 분기 실적을 발표한 애플(-3.74%)은 이번 분기 관세에 따른 비용이 9억 달러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그 이후 더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팀 쿡 CEO는 6월 이후 관세 비용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관세가 어떻게 될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해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쿡 CEO는 관련된 6가지 질문에 어떤 확실한 답도 내놓지 않았죠.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33.1.jpg)
제프리스는 "관세 영향이 장기적으로 확대되어 매출 하락 폭이 더 커질 것"이라며 투자등급을 '중립'에서 '시장수익률 하회'로 낮췄습니다. 목표주가는 170.62달러로 제시했고요. 레이먼드제임스(시장수익률 상회, 목표주가 230달러)는 "애플이 중국 외 지역에서 미국 아이폰 수요를 충당할 수 있는 충분한 제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모든 수입품에 대해 15%의 혼합 관세율을 가정한다. 관세 뉴스 흐름에 따라 주가가 단기 변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지만, 하락은 포지션을 늘릴 기회로 본다"라고 밝혔습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45.1.png)
골드만삭스(매수, 220달러)는 "아마존의 1분기 실적은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가이던스의 상단을 약간 상회했다. AWS의 1분기 매출 증가율은 +17%로 우려보다는 좋았고, 하반기에 신규 용량을 추가하면 매출 성장이 뒷받침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우리는 여전히 건설적 전망을 유지한다"라고 밝혔습니다. 모건스탠리(비중확대, 250달러)는 "아마존이 이번 시기를 거치며 더 강해질 것이라고 확신한다. 물류 부문의 리더십과 AI를 활용한 진전이 향후 수년간 소매 시장 점유율을 더 많이, 그리고 더 수익성 있게 확대하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본다. 다만 올해 하반기와 내년 구매자 및 판매자에게 탁월한 경험을 제공하는 데 드는 비용에 대한 가시성이 낮다. 중국 관세 관련 가시성이 추정치 조정의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그전까지는 주가가 150~200달러 범위에서 등락할 것으로 본다'라고 밝혔습니다.
애플은 종일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지만, 아마존은 장중 상승세로 전환하기도 했습니다.
UBS자산운용의 울리케 호프만-부르차르디 글로벌 주식 최고투자책임자(CIO)는 "AI의 장기적 잠재력에 대한 확고한 확신을 유지하며 기술주 반등세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미국의 반도체 관련 232조 조사가 진행 중이고, 이달 말 AI 수출 규제가 발효될 예정이어서 단기 변동성이 예상된다"라고 말했습니다.
4. 금리 폭등…성장 우려 감소
뉴욕 채권 시장에서 금리는 폭등세를 보였습니다. 오후 5시께 국채 2년물 수익률은 12.3bp 급등한 3.824%에 거래됐고요. 10년물은 7.7bp 상승한 4.308%를 기록했습니다. 인플레이션 우려 탓이 아니라 성장에 대한 걱정이 줄어든 것이어서 증시 상승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았습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59.1.png)
예산은 의회가 정하지만, 행정부의 제안은 초안 역할을 합니다. 공화당은 5월 말까지는 감세안을 포함한 예산안을 통과시키겠다는 계획인데요. 메디케이드 등 사회복지 프로그램 감축을 둘러싸고 당내 이견이 큽니다. 이로 인해 다음주 예정됐던 법안 심사(markup)가 연기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원이 법안을 처리하더라도, 상원 공화당이 이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크지 않은 상황입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이 제시한 7월 4일 데드라인 이전에 하원과 상원이 이견을 좁힐 가능성도 낮다는 관측이 있습니다. 르네상스매크로는 "이번 제안은 실질적인 법제화보다는 정치적 메시지 성격이 강하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지출 법안 통과에는 상원에서 60표가 필요하지만, 현재 공화당이 53석을 차지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법제화 가능성은 낮다"라고 분석했습니다.
5. 상승 지속 vs 차익 실현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는 장 막판까지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결국, S&P500 지수는 1.47% 상승하면서 5686까지 뛰었고요. 나스닥은 1.51%, 다우는 1.39% 상승했습니다. 경기 침체 우려가 감소하면서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가 2.27%로 가장 많이 올랐습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60.1.png)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62.1.png)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75.1.png)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782.1.png)
사실 주요 금융사들은 아직 바닥을 확인하지 못했을 수 있다는 시각을 내놓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번 저점이 시장 바닥이 아닐 수도 있다"라고 했고요. 모건스탠리는 5000~5000 박스권을 제시하면서 "5000대 하단 재테스트가 가능하다"라고 밝혔습니다. JP모건은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S&P500 지수가 4000까지 하락할 수 있다"라고 예상했고요.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미국 주식이 반등하면 매도하라"라고 권했죠. 자산운용사들도 거의 30년 만에 가장 비관적 전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배런스가 최근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벌인 빅머니(Big Money)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2%가 향후 12개월 동안 증시가 비관적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최소 1997년 이후 장 높은 수치입니다.
하지만 골드만삭스 등 금융사에서 자금흐름과 시장정보를 담당하는 트레이딩데스크는 완전히 다른 입장입니다. JP모건 트레이딩데스크는 이번 주 ① 무역 긴장 완화(De-escalation Trade)로 인한 추가 상승 여지가 있다 ② 투자자 주식 포지션이 가볍고, 유동성은 적으며, 투자자 참여가 부진한 상태다. 이런 조합은 부정적 뉴스(예: 관세 뉴스나 국채 금리 급등)가 없으면 시장이 점진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③ 빅테크 실적 호조가 시장에 순풍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전술적으로 강세'(Tactically Bullish)로 바꿨습니다. 골드만삭스 트레이딩데스크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주로 거래하는 장기 투자자들의 개별 종목 '매수 포지션' 유입은 그동안 거의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목요일부터 포착되는 흐름은 이전과는 다르며, 좀 더 긍정적이다. 뮤추얼펀드과 헤지펀드의 매그니피선트 7(Mag 7) 보유가 사상 최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여기서부터의 ‘고통 거래'(pain trade)는 Mag 7 주도하에 계속 상승하는 시나리오일 것이다. 여기에 더해,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 중단 기간에서 점차 벗어나고 있고, CTA 펀드도 매수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815.1.png)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811.1.jpg)
위즈덤트리의 제프 웨닝어 주식 헤드는 "너무 빠르고 너무 많이 오른 것 같다. S&P500 지수는 (어제까지) 지난 17거래일 동안 12.5%나 급등했다. 많은 투자자의 본능은 매도하고, 이익을 실현하고, 더 나은 진입 시점을 기다리라고 말한다. 하지만 역사는 그 본능을 무시하라고 가리킨다"라고 밝혔습니다. 1988년부터 2025년까지 17거래일 동안 주가가 최소 12.5% 상승한 사례가 13번 더 있었는데, 대부분의 경우 주가는 계속 상승했다는 겁니다. 그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지만(2001-2002년 닷컴버블 등), 표를 보면 하락한 적(빨간색)보다 상승한 때(녹색)가 훨씬 많다"라고 강조했습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822.1.png)
유명 기술적 분석가인 톰 드마크는 S&P500 지수가 앞으로 몇 달 안에 결국 하락장으로 이어질 또 다른 내림세를 겪을 것으로 예측합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폴 튜더 존스, 레온 쿠퍼맨 , 스티브 코헨 등에게 자문을 제공해 온 드마크는 올해 2월 최고치, 4월의 최저치를 정확하게 예측했는데요. 그는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단기 고점이 며칠 안에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현재 지수가 거래되고 있는 5669선은 매수세를 소진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예측은 디마크의 '카운트다운'(countdown) 연구에 기반한 것인데요. 이 분석은 특정 종목의 종가가 4거래일 전의 최고가 또는 최저가와 비교해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추적합니다. 같은 패턴이 9번 반복되면 ‘소진(exhaustion)’ 사이클이 형성됩니다. S&P500 지수는 목요일 기준으로 7번째 카운트를 완성했습니다. 즉 S&P500 지수가 앞으로 두 번 더 종가 기준 최고치를 경신하면 매도 신호가 나올 수 있다고 드마크는 설명했습니다. 그렇게 되면 지수는 다시 하락세로 전환되고, 결국 4835포인트 아래로 밀릴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824.1.png)
6. FOMC, 6월 인하 신호 없다?
다음주 핵심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입니다. 금리는 동결할 것으로 보이고요. 6월 금리 인하에 대한 신호를 줄 것이냐가 관건인데요. 오늘 4월 고용 데이터가 괜찮았던 만큼 신호가 나올 것 같지 않습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829.1.png)
웰스파고는 "Fed가 5월 정책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예상은 거의 보편적이다. 1분기 GDP가 부진했지만, 펀더멘털은 침체를 뜻하는 것은 아니었다. 일자리 증가는 꾸준하고, 기업 투자는 견조하며, 소득 증가세는 소비 지출을 지속해서 견인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 데이터가 걱정스러운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관세 정책이 계속 변화하는 가운데, 최근 Fed 위원들 발언은 관망하는 기조를 보여준다"라고 내다봤습니다.
최근 '비둘기파'로 변신한 Fed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도 5월, 6월 금리 인하가 있을 가능성은 작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상호관세가 90일 동안 유예되었기 때문에 "7월이 지나기 전까지는 실제 데이터에서 변화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입니다.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830.1.png)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831.1.jpg)
![20년만 '9일 연속 상승'…상호관세 충격 복구한 시장 대처법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img.toplightsale.com/photo/202505/01.40362854.1.png)
뉴욕=김현석 특파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