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까지 서울 새 전셋집 4100가구 그쳐…전세시장 '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입주 물량 부족에 규제까지 덮쳐
"전셋값·집값 동반 상승할 수도"
"전셋값·집값 동반 상승할 수도"

8일 권영진 국민의힘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신축 공동주택 사용검사(준공) 임박 건설 현장' 목록에 따르면 서울 내 8월 이전 준공검사를 앞둔 아파트는 1만2174가구다. 최근 10년(2013~2022년)간 연평균 3만3595가구가 입주한 것에 비하면 이미 공급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나마도 38.3%인 4667가구는 청년 안심주택 등 공공임대 물량이며, 민간에서 실입주 가능한 물량은 7504가구에 그친다. △'메이플자이' 3307가구 △'중화1구역 재개발' 1055가구 △'행당7구역 재개발' 958가구 △'서대문센트럴아이파크' 827가구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서도 실거주 의무가 부과되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이자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인 메이플자이를 빼면 4197가구로 재차 쪼그라든다. 입주 물량이 적으면 임대 물건도 줄어든다. 실수요 등을 제외하면 전세시장에 신규로 공급될 물량은 극히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공급 부족으로 전세시장 수급이 불안해지면 전셋값이 상승할 수 있다. 통상 전셋값이 오르면 집값도 상승세를 보인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와 실거주 의무 규제가 서민 주거 불안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입주 물량이 부족한 가운데, 실질적으로 전세로 나올 수 있는 가구도 규제로 인해 제한됐다"며 "공급 부족으로 인해 전세시장 불안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택 공급을 당장 늘리기 어려운 만큼 임대 공급을 막는 규제는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