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PBR 1배 미만 비중 52%
美 3%·中 15% 비해 높아
주주환원 정책, 대선 화두로
외국인, LG·삼성물산 등 '줍줍'
금융·유통주도 상승여력 높아
대선 레이스가 본격화하자 증권가가 정책 수혜주 찾기에 들어갔다. 증권사들은 ‘낮은 주가순자산비율(PBR)’ 종목을 우선 주목했다. 주주환원 정책 확대에 따른 직접적 수혜가 예상된다는 이유에서다. 대표적 저(低)PBR 업종인 지주사와 금융사, 유통사 등을 눈여겨보라고 조언했다.
◇ PBR 1배 미만 상장사만 52%
12일 에 따르면 국내 상장사 중 PBR 1배 미만인 종목 비중은 52.1%다. 일본(50.7%), 유럽(17.3%), 대만(15.6%), 중국(15.5) 등에 비해 높은 수치다. 미국 비중은 3.2%다. PBR은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 대비 주가를 나타내는 지표다. 1배 미만이면 해당 기업 주가가 청산가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의미다.
증권가에선 선거 과정에서 저PBR 종목이 상승 추세를 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주요 후보들이 국내 상장사의 낮은 PBR을 끌어올리겠다고 공언해서다. 선거전이 이어지는 동안 TV 토론 등을 통해 1400만 주식 투자자를 겨냥한 정책이 부각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지지율 1위를 달리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최근 증권사 간담회에서 0.1~0.2배 수준인 저PBR주를 두고 ‘청산’까지 언급했다. 민주당은 상속·증여세 부과 때 PBR이 낮은 기업에 불이익을 주는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연간 5000만원까지 배당소득세를 폐지하고 이를 넘더라도 20%로 분리 과세한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기업은 추가적인 주가 부양책과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환원 확대 압력을 받을 수 있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는 초당파적인 과제”라며 “자율을 강조하던 밸류업 정책 패러다임이 ‘강제적 참여’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외인은 지주사 저가 매수 중
국내 증시에서 PBR이 낮은 대표적 업종으로는 지주, 금융, 유통 등이 꼽힌다. 지주사는 자회사 중복 상장에 따른 할인 등으로 자산에 비해 주가가 낮은 대표적 업종이다. (0.37배), (0.39배), (0.45배) 등 주요 지주사의 PBR은 대부분 1배를 밑돌고 있다.
외국인도 주요 지주사 저가 매수에 나서고 있다. 외인은 LG 주식을 최근 12거래일 연속 순매수했다. 순매수액 합계는 315억원이다. 같은 기간 외인은 SK, 한화, 주식도 각각 232억원, 153억원, 134억원어치 사들였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주사는 저PBR 해소 정책의 대표 수혜주”라며 “일반적으로 자사주 보유 비율이 높기 때문에 소각 기대가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기존 밸류업 정책의 대표주자인 금융주 PBR 역시 낮은 편이다. 최근 한 달간 약 30% 급등한 의 PBR은 여전히 0.61배다. 와 는 각각 0.43배, 0.45배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금융주는 아직 주주환원 여력이 크다”며 “정책 순응도가 높아 대선을 전후해 눈여겨봐야 할 업종”이라고 말했다.
유통은 지주, 금융보다 PBR이 더 낮은 업종이다. PBR은 0.12배, 는 0.25배 수준이다. 부동산 등 보유 자산이 많지만 수익성이 떨어져 주가가 예전만 못해서다. 부동산 등 자산 재평가에 나서면 PBR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유통주는 내수 부양책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13조8000억원 수준의 추가경정예산이 확정된 데다 정치권 일각에서 2차 추경 논의까지 하고 있어서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 각종 소비 진작 정책이 추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