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노이드사이언스 재생치료제, 난치성 환자 모두 증상 개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가노이드 기반 난치성 장염 치료제 ‘ATORM-C’
이범재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팀 주도 임상연구
이범재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팀 주도 임상연구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장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ATORM-C’의 첨생법 임상(첨단재생바이오법 임상연구) 단기 결과를 최근 스페인에서 열린 ‘유럽소화기내시경학회 학술대회’(2025 ESGE Days)에서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임상을 주도한 이범재 고려대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맡았다.
이번 연구는 기존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중증 베체트 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베체트 장염은 장 내에 만성 궤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희귀 염증성 질환으로, 장 천공이나 복막염, 심한 경우 외과적 절제술로 이어질 수 있다. 휴미라(성분명 아달리무맙) 등 기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에게는 치료 대안이 거의 없어 미충족 수요가 큰 질환으로 꼽힌다.
연구팀은 환자 본인의 장 조직에서 유래한 오가노이드를 먼저 배양한 뒤, 생체 접착제인 피브린 글루를 활용해 대장 내시경으로 병변 부위에 국소 투여했다. 총 5명의 환자 중 4명에게 투여를 마쳤으며, 이후 1~6개월간의 추적 관찰을 통해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자가 장오가노이드 배양의 기술적 성공률은 80%로 확인됐으며, 투여된 4명 중 3명(75%)에게서 궤양 치유가 관찰됐다. 모든 환자(100%)에게서 임상 증상의 호전이 있었고, 중대한 이상반응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 교수는 “ATORM-C는 기존 치료법으로도 반응이 없던 난치성 베체트 장염 환자들에게 의미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며 “향후 3년간 장기 추적을 통해 종양 발생 가능성 등 잠재적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지원하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한국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우상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