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회의 '제주 선언' 막판 극적 합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中 이견 '보호주의 반대' 빠져
공동성명엔 '다자주의 강조' 넣어
공동성명엔 '다자주의 강조' 넣어
16일 폐막한 제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서 ‘다자무역체제를 지지한다’는 내용의 공동선언문이 도출됐다. 의장국 역할을 수행한 한국이 다양한 양자 협의를 병행하며 공동선언문 합의 과정에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제주에서 연 APEC 통상장관회의에서 세계무역기구(WTO) 등 다자무역체제를 통한 연결, 통상을 위한 인공지능(AI) 도입, 지속 가능한 무역을 통한 번영 등 세 가지 사안을 만장일치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21개 회원국 통상장관들은 WTO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WTO가 더 포괄적이고 의미 있는 개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협력하자고 합의했다. 한국은 ‘인공지능(AI) 통상 이니셔티브’를 제안해 회원국들의 지지를 받았다.
중국 측은 논의 과정에서 ‘보호무역주의 반대’를 공동선언문에 포함하자고 주장했지만 미국 측 반대로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회의장 안팎에서는 미·중 간 견해차 때문에 공동성명 대신 의장성명 형식으로 회의가 종료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지만 미·중 양측에 불편한 내용이 빠지면서 공동성명이 채택됐다.
이번 회의 의장을 맡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최근 글로벌 통상 환경이 매우 불확실한 상황에서 여러 나라가 협력하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의지를 글로벌 시장에 전달하는 계기가 됐다”고 이번 회의를 평가했다.
김대훈 기자 [email protected]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제주에서 연 APEC 통상장관회의에서 세계무역기구(WTO) 등 다자무역체제를 통한 연결, 통상을 위한 인공지능(AI) 도입, 지속 가능한 무역을 통한 번영 등 세 가지 사안을 만장일치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21개 회원국 통상장관들은 WTO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WTO가 더 포괄적이고 의미 있는 개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협력하자고 합의했다. 한국은 ‘인공지능(AI) 통상 이니셔티브’를 제안해 회원국들의 지지를 받았다.
중국 측은 논의 과정에서 ‘보호무역주의 반대’를 공동선언문에 포함하자고 주장했지만 미국 측 반대로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회의장 안팎에서는 미·중 간 견해차 때문에 공동성명 대신 의장성명 형식으로 회의가 종료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지만 미·중 양측에 불편한 내용이 빠지면서 공동성명이 채택됐다.
이번 회의 의장을 맡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최근 글로벌 통상 환경이 매우 불확실한 상황에서 여러 나라가 협력하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의지를 글로벌 시장에 전달하는 계기가 됐다”고 이번 회의를 평가했다.
김대훈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