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대미 무역흑자 84% '美 현지재투자', 고용창출 1위…'관세예외' 협상카드 삼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더불어민주당 안도걸 의원, 한국무역협회·수은 자료 분석
2017년 이후 대미무역흑자 상당액 현지에 재투자
2017년 이후 대미무역흑자 상당액 현지에 재투자

2017년부터 작년까지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중 상당액이 한국 기업들의 미국 현지투자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 효과로 한국은 현지에서 2만개가 넘는 일자리를 만들어내며 미국 내 고용창출 국가 1위로 올라섰다.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정부가 '관세전쟁'을 촉발한 와중에 한국 기업들의 현지 고용창출 성과가 향후 협상 카드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12일 국회 기획재정위 소속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무역협회와 한국수출입은행 자료를 분석한 결과 트럼프 1기 시절인 2017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은 미국 현지에 연평균 143억8000만달러(약 21조원) 규모로 투자했다. 같은 기간 한국의 연평균 대미 무역흑자가 149억5000만달러(21조7000억원)에 달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무역흑자의 96.2%를 현지에 다시 투자한 셈이다.
이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집권한 2021년부터 작년까지도 무역흑자의 71% 이상이 현지투자에 활용됐다. 이 기간 연평균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연 376억9000만달러, 직접투자는 이중 71.4%에 달하는 269억2000달러였다.


하지은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