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큰 피해자는 美 소비자"…미국 내에서도 '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율 관세로 미국 내 물가상승 불가피
무역비용 10%p 오르면 인플레 약 0.5%p상승
3월 소비자심리지수도 2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
무역비용 10%p 오르면 인플레 약 0.5%p상승
3월 소비자심리지수도 2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의 경우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전망된다. 예일대학교의 예산 연구소(The Budget Lab)에 따르면 상호관세가 시행되고, 다른 국가들이 이에 대해 보복 관세를 물리지 않을 경우 개인소비지출(PCE) 지수는 약 1.7%포인트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보복관세가 있을 경우엔 증가폭은 2.1%포인트로 커졌다. 예일대는 “가구당 평균 2700~3400달러의 손실을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미 상호관세와 별도로 부과된 수입차·부품 관세로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은 상승 중이다. 투자은행 번스타인은 이번 수입차·부품 관세로 미국의 평균 신차 가격이 대당 6250달러 상승할 것으로 분석했다. 골드만삭스는 수입차 가격이 대당 5000~1만5000달러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로 인해 소비자 심리도 위축되고 있다. 미국 미시간대에 따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57.0으로 지난 2022년 11월 이후 2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알리안츠 트레이드 노스 아메리카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댄 노스는 “소비자에게는 소비 의지와 소비 능력이 필요한데, 지금은 소비 의지 없고, 소비 능력도 줄어들고 있다”고 짚었다.
미국 GDP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3분의 2인 만큼 소비 지출의 부진은 단순히 가계 지출이 줄어드는 수준을 넘어 미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CNN 방송은 “소비자 지출은 미국 경제 활동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한다”며 “이 엔진이 멈추면 경제적 여파가 급속도로 확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